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199

Python - 함수[변수의 범위] - 지역 변수, 전역 변수 Chap.7 함수[변수의 범위] - 지역 변수, 전역 변수 변수의 범위 지역 변수, 전역 변수 지역 변수 함수 내에서 사용된 변수 함수 내에서 만 사용 가능 - 함수 밖에서 사용 불가 def calsum(n): # 변수 n은 호출에서 초기화 total = 0 # 변수 total은 함수 내에서 초기화 for num in range(n+1): # 변수 num 또한 함수 내에서 초기화 total += num return total 세 변수 n, total, num 은 모두 지역변수 def kim(): temp = '김과장의 함수' print(temp) kim() print(temp) # name 'temp' is not defined 결과 name 'temp' is not defined def kim(): t.. 2020. 7. 24.
Python - 함수[인수의 형식] - 가변 인수, 인수의 기본값 Chap.7 함수(2) 인수의 형식 - 인수, 가변 인수, 인수의 기본값 인수의 형식 가변 인수, 인수의 기본값 가변 인수 인수의 수가 고정되지 않음 - 호출 시 원하는 만큼 인수를 지정 - 함수에서는 이를 튜플 변수로 받음 - 일반 인수 뒤에만 올 수 있음 - 하나만 사용 가능 def 함수명(*인수명): 명령 블럭 def intsum(*ints): total = 0 for num in ints: total += num return total print(intsum(1, 2, 3)) print(intsum(5, 7, 9, 11, 13)) print(intsum(8, 9, 6, 2, 9, 7, 5, 8)) 결과 6 45 54 추가적으로 가변 인수는 인수 목록 마지막에만 올 수 있다. intsum(s, *i.. 2020. 7. 20.
Python - 함수[함수와 인수] - 반복되는 코드, 인수, 리턴값, pass Chap.7 함수[함수와 인수] - 반복되는 코드, 인수, 리턴값, pass 함수와 인수 반복되는 코드, 인수, 리턴값, pass 반복되는 코드 ○ 함수로 정의하여 반복을 없앰 def 함수명(인수 목록): # 정의 본체 함수(인수 목록) # 호출 예제 1~n 합 함수 def calcsum(n): total = 0 for num in range(n+1): total += num return total # 나를 부른 곳으로 다시 돌아간다. 명시적 return # 없으면 None print("~4 =", calcsum(4)) print("~10 =", calcsum(10)) 결과 ~4 = 10 ~10 = 55 변수와 함수는 이름을 지어준다. 식별자(identifier) 인수 함수로 값을 전달했을 때 이를 저장.. 2020. 7. 20.
Python - 반복문[예제] - 가위바위보(추가) Chap.6 반복문[예제] - 가위바위보(추가) 반복문 예제 가위바위보 게임 (추가) 컴퓨터는 랜덤, 사용자는 입력 받기 최종 스코어 출력하기 Rock, Scissors, paper에 숫자를 mapping random 모듈 이용 반복문 및 조건문 사용 import random ROCK = 0 SCISSORS = 1 PAPER = 2 com_win=0 # 컴퓨터가 이긴 횟수 me_win=0 # 내가 이긴 횟수 for x in range(3): com = int(random.random() * 10) % 3 me = int(input('0:주먹, 1:가위, 2:보 \n')) print(x+1, "번째 판은 ", end='') if com == me: print("비겼습니다.") elif com == SCIS.. 2020. 7. 20.
Python - 반복문[루프의 활용] - 이중 루프, 무한 루프 Chap.6 반복문[루프의 활용] - 이중 루프, 무한 루프 루프의 활용 이중 루프, 무한 루프 이중 루프 루프 안에 루프를 실행 구구단 4단 for a in range(1, 10): print('4X', a, '=', 4*a, sep='') 결과 4X1=4 4X2=8 4X3=12 4X4=16 4X5=20 4X6=24 4X7=28 4X8=32 4X9=36 구구단 전체 for a in range(2, 10): print(a, '단', sep='') for b in range(1, 10): print(a, 'X', b, '=', a*b, sep='') print() 결과 9X1=9 9X2=18 9X3=27 9X4=36 9X5=45 9X6=54 9X7=63 9X8=72 9X9=81 triangle 이중루프 활.. 2020. 7. 20.
Python - 반복문[반복문] - while 문, for 문, 제어 변수의 활용, break, continue Chap.6 반복문[반복문] - while 문, for 문, 제어 변수의 활용, break, continue 반복문 while 문, for 문, 제어 변수의 활용, break, continue while 문 조건이 참인 동안 명령 블럭을 실행 while 조건: 명령 블록 while 반복문 student = 1 while student 2020. 7. 20.
Python - 조건문[예제] - swap, 가위바위보 Chap.5 조건문[예제] - swap, 가위바위보 조건문[예제] swap, 가위바위보 swap # x와 y의 값을 교환하세요. x=10 y=20 print("x: ", x) print("y: ", y) temp=x x=y y=temp print("x: ", x) print("y: ", y) 결과 x: 10 y: 20 x: 20 y: 10 가위바위보 게임 (연습) 가위=1, 바위=0, 보=2 라고 판단 후 코딩 com=0 me=1 if com==me: print("비겼습니다.") elif com==1: if me==2: print("컴퓨터가 이겼습니다.") else: print("내가 이겼습니다.") elif com==2: if me==0: print("컴퓨터가 이겼습니다.") else: print("내.. 2020. 7. 20.
Python - 조건문[블록 구조] - 블록 구조, else 문, elif 문, if 문 중복 Chap.5 조건문[블록 구조] - 블록 구조, else 문, elif 문, if 문 중복 블록 구조 블록 구조, else 문, elif 문, if 문 중복 블록 구조 if 문의 명령어가 여러 줄인 경우 이들 명령은 모두 동일한 들여쓰기를 해야 함 else 문 if 문에서 조건이 False인 경우 실행할 명령 지정 elif 문 여러 개의 if 문으로 조건을 검사할 때 사용 age=23 if age80: print("B등급입니다.") elif a>70: print("C등급입니다.") elif a>60: print("D등급입니다.") else : #밑줄 -> 비권장사항 print("F등급입니다.") 결과 점수는? 87 B등급입니다. age = 23 if age < 19: print("애들은 가라") else.. 2020. 7. 20.
Python - 조건문[if 조건문] - if 문, 비교 연산자, 거짓 값, 논리 연산자 Chap.5 조건문[if 조건문] - if 문, 비교 연산자, 거짓 값, 논리 연산자 if 조건문 if 문, 비교 연산자, 거짓 값, 논리 연산자 if 문 단일 라인 표현식 if 조건 : 명령 age = int(input("나이를 입력하세요 : ")) if age : 좌변이 우변보다 크다. = : 좌변이 우변보다 크거나 같다. a=3 if a==3: print('3이다') if a>5: print('5보다 크다') if a "japan": print("한국이 더 크다") if "korea" < "japan": p.. 2020. 7. 20.
Python - 연산자[타입 변환] - 문자열 연산, 정수와 문자열, 실수의 변환 Chap.4 연산자[타입 변환] - 문자열 연산, 정수와 문자열, 실수의 변환 타입 변환 문자열 연산, 정수와 문자열, 실수의 변환 문자열 연산 문자열 연결 (+) s1="대한민국" s2="만세" print(s1+s2) 결과 대한민국만세 문자열 연결 (*) print("싫어 "*3) print("="*40) 결과 싫어 싫어 싫어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예제(1) print("#"*30) print(" 결과") print("#"*30) 결과 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 결과 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 예제(2) print(("-"*4+"+")*4+"-"*4) print(" 결과") print(("-"*.. 2020. 7. 20.
Python - 연산자[대입 및 산술] - 대입 연산자, 산술 연산자, 복합 대입 연산자 Chap.4 연산자[대입 및 산술] - 대입 연산자, 산술 연산자, 복합 대입 연산자 대입 및 산술 대입 연산자, 산술 연산자, 복합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 어떠한 값을 변수에 저장하는 것 직접 값을 지정 연산의 결과를 값으로 사용 사용하지 않는 변수를 읽으면 예외 발생 산술 연산자 +, -, *, / ** 거듭제곱 // 정수 나누기 % 나머지 print(5/2) print(5//2) print(7%2) print(8%3) print(9%3) 결과 2.5 2 1 2 0 복합 대입 연산자 변수의 반복 사용을 줄여 주는 축약 표현 a += 1 예제 a=8 if a%2==0: print("짝수") else: print("홀수") 결과 짝수 2020. 7. 20.
Python - 타입[그 외의 타입] - 진위형(부울린), None, 컬렉션 소개 Chap.3 타입[그 외의 타입] - 진위형(부울린), None, 컬렉션 소개 그 외의 타입 진위형(부울린), None, 컬렉션 소개 진위형(부울린) True, False 두 가지 값만 가짐 a=5 b=a==5 print(type(b)) print(b) 결과 True None 어떠한 값도 없음을 나타냄 컬렉션 소개 List member=['손오공','저팔계','사오정','삼장법사'] print(type(member)) print(member) for m in member: print(m,'출동') 결과 ['손오공', '저팔계', '사오정', '삼장법사'] 손오공 출동 저팔계 출동 사오정 출동 삼장법사 출동 Tuple - 읽기 전용 membertuple = ('손오공','저팔계','사오정','삼장법사') .. 2020. 7. 20.